ror_coding

[그로스 해킹] PMF (Product-Market Fit) 이란? 본문

Data Analysis/Growth Hacking

[그로스 해킹] PMF (Product-Market Fit) 이란?

ro_rdil_31 2025. 6. 8. 11:33
728x90
제품은 가설의 조합으로 이뤄져야 하며,
그러한 가설을 테스트하기 위한 최소한의 기능으로 이뤄져야 한다.

 

이전 게시글에서 "린 스타트업 (Lean Startup)"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MVP (최소 기능 제품)를 빠르게 출시하여 개선해 나가는 제품 개발 프로세스를 주로 사용한다고 배웠습니다.

 

제품을 출시한 후에는 이 제품을 통해 검증하려고 했던 가설이 무엇이었는지,

그리고 그 검정 결과가 어땠는지에 대한 답을 할 수 있어야 합니다.


PMF를 만족하는지 확인하는 3가지 방법

1. 리텐션 (Retention Rate)

  • 사용자들이 특정 서비스에 얼마나 꾸준히 남아서 활동하는지 보여주는 지표를 확인합니다.

2. 전환율 (Conversion Rate)

  • 한 단계에서 다음 단계로 넘어가는 사용자의 비율을 확인합니다.
  • 이는 사용성(Usability)이나 UI/UX의 영향을 많이 받는 지표이긴 하지만 불편함을 잘 해소하는 제품을 만들었다면 사용자는 어느 정도의 불편함을 감수하더라도 높은 전환율을 보입니다.

3. 순수 추천 지수 (Net Promoter Score, NPS)

  • 이 서비스를 주변 지인이나 친구에게 얼마나 추천하고 싶은지를 확인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 0~10점의 구간으로 이루어진 11점 리커트(Likert) 척도*로 받습니다.
    • 9~10 ) 적극적 추천 그룹
    • 7~8 ) 소극적 추천 그룹 (매력적인 경쟁 제품이 나오면 쉽게 이탈할 수 있는 사용자)
    • 0~6 ) 비추천 그룹 (한두 번 서비스를 쓴 후 이탈할 가능성 높음)
    • NPS = (적극적 추천 그룹 - 비추천 그룹) / 전체응답자
      • NPS 점수가 0 이상이라면 양호~매우 좋음, 음수라면 개선이 필요합니다.

*리커트 척도 : 설문 조사 등에 사용되는 심리 검사 응답 척도의 하나로, 각종 조사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리커트 척도에서는 응답자가 제시된 문장에 대해 얼마나 동의하는지를 답변하도록 한다.

 


서비스가 PMF를 충분히 만족하지 못하는 것처럼 보일 때 개선하기 위해

해서는 안 되는 것

  • 브레인스토밍
  • 새로운 기능 추가
  • 잔존율이나 전환율을 개선하기 위한 실험
    • 이 단계에서의 목적은 PMF를 찾는 것이고, 리텐션/전환율은 이를 확인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해야 합니다.
    • 따라서 이 지표 자체를 개선하는 것이 목적이 돼서는 안 됩니다.

해야 하는 것

  • 사용자 행동 데이터 분석
  • 사용자를 직접 만나서 이야기 듣기
    1. 미래가 아닌, 과거현재에 초점을 맞춘 질문을 할 것
    2. 가정이 아닌, 경험을 물어볼 것
    3. 결과가 아닌, 과정을 깊이 살펴볼 것
    4. 기억이 아닌, 습관을 통해 드러난 구체적인 경험을 확인할 것
    5. 일반화된 진술이 아닌, 개인의 경험이 드러날 수 있도록 질문/답변할 것
    6. 편향된 믿음을 확인하는 과정이 아닌, 순수한 호기심으로 접근할 것
[출처] 양승화(2021), "그로스 해킹", 위키북스, 02장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