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AARRR
- sql
- 프로그래머스
- 완전탐색
- cte
- Growth hacking
- Level2
- coding
- hackerrank
- import re
- counter
- 파이썬
- collections
- lambda
- tableau
- level4
- join
- coding test
- python
- itertools
- 코테
- 코딩
- 코딩테스트
- time complexity
- Queue
- lv4
- Stack
- programmers
- mysql
- 조합
- Today
- Total
목록Growth hacking (4)
ror_coding

Retention 리텐션이 단계에서는 활성화 과정을 통해 경험한 핵심 가치를 꾸준히 경험하게 하고, 그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를 정의하고 관리해야 합니다.리텐션은서비스의 성공을 예측할 수 있는가장 기본적이면서도중요한 지표입니다. 리텐션은 어떤 개선이나 변경이 효과가 있었더라도 결과를 확인하는 데는 오랜 시간이 필요합니다.그만큼 개선하기 어려운 지표지만, 반대로 리텐션을 일정 수준 개선할 수 있다면 장기적으로 큰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리텐션은 서비스의 특성이나 사용 환경에 따라 다양한 기준으로 측정됩니다. 1. 클래식 리텐션 (Classic Retention)가장 일반적인 유지율 계산 방법입니다.특정일에 이벤트를 발생시킨 유저의 비율을 계산하는 방식이라 'Day N 리텐션'이라고도 합니다...

AARRR사용자의 서비스 이용 흐름을 기반으로 다섯 가지 카테고리를 정의하고,각 카테고리에서 핵심이 되는 지표를 발굴하고이를 측정/개선하는 지표 관리 방법론AARRR은 사용자가서비스에 진입하고,핵심 기능을 사용하고,결제하고,이탈하는 라이프사이클(lifecycle) 전반에 걸친 핵심 지표를 찾고 관리하도록 합니다. 지표를 바라보는 2가지 관점AARRR은 결국 지표 (metric)에 대한 이야기인데, 그로스 해킹에서 지표를 바라보는 관점에 대해 먼저 살펴봐야 합니다.그로스 해킹은 핵심 지표를 찾고, 그 지표를 성장시키는 방법을 찾는 활동입니다. 이러한 서비스의 지표를 측정하고 관리하는 방법은 크게 2가지입니다. 1. 과업 기반 (Task-based) 과업 -> 지표각 조직별로 담당하는 업무를 우선 정의한 후..

제품은 가설의 조합으로 이뤄져야 하며,그러한 가설을 테스트하기 위한 최소한의 기능으로 이뤄져야 한다. 이전 게시글에서 "린 스타트업 (Lean Startup)"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MVP (최소 기능 제품)를 빠르게 출시하여 개선해 나가는 제품 개발 프로세스를 주로 사용한다고 배웠습니다. 제품을 출시한 후에는 이 제품을 통해 검증하려고 했던 가설이 무엇이었는지,그리고 그 검정 결과가 어땠는지에 대한 답을 할 수 있어야 합니다.PMF를 만족하는지 확인하는 3가지 방법1. 리텐션 (Retention Rate)사용자들이 특정 서비스에 얼마나 꾸준히 남아서 활동하는지 보여주는 지표를 확인합니다.2. 전환율 (Conversion Rate)한 단계에서 다음 단계로 넘어가는 사용자의 비율을 확인합니다.이는 사용성(..

그로스 해킹 ? 대학 막학기 시절,데이터 분석가로 취업을 준비하기 위해 교내 진행하는 취업 동아리에 참여했습니다. 실제 데이터 분석가로 활동 중이신 멘토님을 통해데이터 분석가란 어떤 역할을 하는 지를 시작으로, 학습해야 하는 이론과 실무를 알게 되었습니다. 그러다 듣게 된 이론... 바로 "그로스 해킹" 처음 이것을 접했을 때는 분석가가 해킹..? 이건 무슨 연관인 거지라는 생각이 들기도 했는데요 (ㅋㅋ)그로스 해킹이란,크로스펑셔널한 직군의 멤버들이 모여서핵심지표를 중심으로실험을 통해 배움을 얻고, 이를 빠르게 반복하면서제품이나 서비스를 성장시키는 것 입니다..! 쉽게 말하자면, 한정된 예산으로 빠르게 성장을 이루려는 스타트업에서 주로 활용하는 마케팅 기법인데요 ! 데이터 분석에 앞서 실무에서 쓰이는 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