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r_coding

[Programmers] 배달 - 12978 본문

Coding Test/Python

[Programmers] 배달 - 12978

ro_rdil_31 2024. 12. 22. 17:42
728x90

Dijkstra's Algorithm 원리로 풀기! (heapq 를 이용해서 자동 정렬되는 값들을 사용한다)

 

Question

 

 

위 그림에서 1번 마을에 있는 음식점은 [1, 2, 4, 5] 번 마을까지는 3 이하의 시간에 배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3번 마을까지는 3시간 이내로 배달할 수 있는 경로가 없으므로 3번 마을에서는 주문을 받지 않습니다. 따라서 1번 마을에 있는 음식점이 배달 주문을 받을 수 있는 마을은 4개가 됩니다.
마을의 개수 N, 각 마을을 연결하는 도로의 정보 road, 음식 배달이 가능한 시간 K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음식 주문을 받을 수 있는 마을의 개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마을의 개수 N은 1 이상 50 이하의 자연수입니다.
  • road의 길이(도로 정보의 개수)는 1 이상 2,000 이하입니다.
  • road의 각 원소는 마을을 연결하고 있는 각 도로의 정보를 나타냅니다.
  • road는 길이가 3인 배열이며, 순서대로 (a, b, c)를 나타냅니다.
    • a, b(1 ≤ a, b ≤ N, a != b)는 도로가 연결하는 두 마을의 번호이며, c(1 ≤ c ≤ 10,000, c는 자연수)는 도로를 지나는데 걸리는 시간입니다.
    • 두 마을 a, b를 연결하는 도로는 여러 개가 있을 수 있습니다.
    • 한 도로의 정보가 여러 번 중복해서 주어지지 않습니다.
  • K는 음식 배달이 가능한 시간을 나타내며, 1 이상 500,000 이하입니다.
  • 임의의 두 마을간에 항상 이동 가능한 경로가 존재합니다.
  • 1번 마을에 있는 음식점이 K 이하의 시간에 배달이 가능한 마을의 개수를 return 하면 됩니다.

 

Point

 

  • Dijkstra's Algorithm (다익스트라 알고리즘) 으로 풀기.
  • 양쪽 경우의 값을 전부 ways에 넣어줌.
  • heapq 사용하며 자동 정렬하고 맨 앞 값을 추출하며 진행.

 

Code

 

import heapq as hq
def solution(N, road, K):
    ways = {i:[] for i in range(1,N+1)}
    for u,v,w in road:
        ways[u].append((v,w))
        ways[v].append((u,w))
        
    def Dijkstra(start):
        nodes = {i:500001 for i in ways}
        nodes[start] = 0
        queue = [(start, 0)]
        
        while queue:
            c_node, c_dist = hq.heappop(queue)
            if c_dist > K : continue
            
            for neigh, dist in ways[c_node]:
                next_dist = dist + c_dist
                if next_dist < nodes[neigh]:
                    nodes[neigh] = next_dist
                    hq.heappush(queue, (neigh, next_dist))
                    
        return nodes
        
    result = Dijkstra(1)
    
    return sum(1 for i in result.values() if i <= K)

 

now me

On my github
728x90